안현덕한국작명연구원

TEL. 02.2678.6542 | 010.4721.6868

BANK. 9-12123838-47 KB국민은행
         1002-480-123838 우리은행
         예금주 : 안현덕

좋은이름의 기준

소리·뜻·자형 조화를 이루는 좋은이름

사람의 척추도 마디마디가가 서로 이어져 탄력이 있을때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처럼, 사람의 이름(名)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소리와 뜻이 하나로 이어지지 않는이름 은 큰 힘을 쓸수 없는 '맥없는' 이름에 불과하다.

설혹 깊은 애정을 갖고 지었다 하더라도 좋은 이름을 짓는 방법을 몰라 잘못 짓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름이 자신의 타고난 기운과 맞지 않으므로 자기 이름에 대해 강한 애정과 긍지를 느끼지 못하면서 살아가는 사람 역시 많다.
 

흔히 조상 중에 죽어서 좋은 곳에 가지 못하고 구천에 떠도는 이름없는 혼령을 무명씨(無名氏)라고 부르거니와 이름 없음도 불행이요, 나쁜 이름을 평생 부르고 쓰다 가는 것도 불행이니 자연의 조화로운 기운을 받고 태어난 좋은 사주가 있듯이 당연히 좋은 이름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좋은 옷을 지으려면 먼저 그 사람의 신체 치수와 특성을 제대로 파악한 후, 그것을 고려하여 옷을 지었을 때 편하고 몸에 맞는 좋은 옷이 되며, 또한 그 사람의 신체의 결점이 보완되어진 옷이 훌륭한 옷이 된다.
 

그렇듯이 좋은 이름을 지으려면 『먼저 그 사람의 타고난 기운(四柱)을 바르게 살펴 어떤 기운을 타고났는지(신체치수)와 어떤 기운이 좋고 나쁜지(신체특성)을 제대로 파악한 다음 그 사주의 주인공에게 맞는 좋은 기운(필요한 기운)을 가진 강한 소리와 글자로 보완하였을 때』 가장 힘 있으면서도 조화로운 이름이 되는 것이다.
 

사람은 타고난 기운에 따라 저마다 식성과 체질, 그리고 가치관과 행복의 기준도 달라진다.
당연히 좋은 이름을 짓는 기준과 조건도 사람마다 달라지므로 무엇보다도 그 사람의 타고난 기운에 맞게 이름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자기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야하며, 자신과는 맞지 않을 경우 다른사람의 기호나 집안에 내려오는 돌림자(항렬자)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니 자신의 인생은 자신에맞게 살아갈 때가 가장 행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갓 태어난 어린아이의 개성과 필요한 기운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채 집안의 어른이나 부모가 좋아하는 기운에 속하는 소리와 글자로 지어진 이름을 부르고 쓰게 되는 경우가 참으로 많은데, 이는 아이 자신의 보다 나은 행복을 위해 심사숙고 해야 할 문제이다.
 

다시 말해 타고난 기운을 고려하지 않은 좋은 이름이란 드물며, 의미 또한 희박한 것이다.
그것은 마치 컴퍼스의 중심다리가 움직인다면 정확한 원을 그릴 수 없는 이치와 같다.
그러므로 개개인의 사주에 중심을 둔 작명과 성명풀이야 말로 참되고도 온전한의미가 있는 것이다.
 

모든 이치는 상식에서 출발하며 혹 예외가 있다 하더라도 상식에서 이어질 뿐이지 결코 상식을 뛰어 넘는 이치란 없다.
그러므로 상식이란 가장 기초를 이루면서도 보편 타당하여 진리성을 이루는 원바탕이자 출발점이다.
 

성명학에서도 무슨 특수비법이니 하는 것에 지나치게 치우치거나 확대 해석하는 것보다는 기본 이치에 충실한 이름을 지을 때 보다 더 원만하고 조와로운 이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작명계의 현실은 소리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자음오행(字音五行)의 중요성보다는 음령오행이나 수리길흉에만 너무 치우쳐 있어 자의(字意) 및 자형(字形) 오행의 중요성과 조화여부 역시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소리와 글자가 없다면 어떻게 이름을 부르고 쓸 수 있으랴!
 

그러므로 좋은 이름이란 이름의 소리(자음오행:정신)와 뜻(자의오행:정신) 그리고 모양(자형오행:몸) 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기운을 강력하게 가지고 있을 때, 특히 이름 두 자의 기운이 서로 통하면서 뭉쳐질 때(단합·통일) 가장 강력하면서도 조화로운 이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부수적으로 음령오행과 수리 및 획수음양을 참고하되, 이상적으로 전자(자음·자의·자형)의 조건이 갖추어졌을 경우에는 얼마든지 이를 무시할 수 있다.
 

그 까닭은 이름의 기운이 가지는 대세(大勢)는 이미 조화(중화·중도)를 향해 정해졌으며, 글자가 있음으로해서 발생하는 수리는 대세의 흐름에 순응하게 될 따름이기 때문이다.
 

자연의 이치란 참으로 더할나위 없이 지혜로워 계란으로 바위치듯 무모하지 않으며, 여여(如如)하게 돌고 돌아가거늘 전체로 볼때에는 지엽(枝葉)에 불과한 수리(數理)에 연연하여 정말 강하고 좋은 소리와 글자를 놓치고 마는 왜곡된 작명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제 좋은 이름을 짓기 위한 전제 조건과 방법에 관해서 언급하면,
첫째, 타고난 기운을 알아야하고
 둘째, 사주에 필요한 소리와 글자를 찾아야하며
 셋째, 사주와 조화가 잘되는 소리와 글자를 골라내어 이름을 지으면 되는데, 이 때 다음 6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사주와의 조화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첫째, 자음오행(字音五行)
둘째, 자의오행(字意五行)
섯째, 자형오행(字形五行)
넷째, 음령오행(音靈五行)
다섯째, 수리길흉(數理吉凶)
여섯째, 획수음양(劃數陰陽)
 
 

그러나 이름(名)을 짓다보면 앞서의 6가지 기준을 다 갖추기가 어렵다.
인명용 한자 중 이름짓기에 부적합하고 잘못 된 글자를 빼고나면 그 숫자가 대폭 줄어, 글자 수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기준을 번호의 역순(逆順)으로 무시하며 이름(名)을 짓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뜻이 하나로 통하는 소리(字音)와 글자의 (字意)과 글자의 모양(字形)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