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덕한국작명연구원

TEL. 02.2678.6542 | 010.4721.6868

BANK. 9-12123838-47 KB국민은행
         1002-480-123838 우리은행
         예금주 : 안현덕

브랜드 네이밍

소리가 갖는 청각적 이미지와 글자의 뜻이 갖는 상징적 이미지 그리고 글자의 모양이 갖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기업과 제품의 개성을 만들고 이미지를 통일화 시키는 작업이 바로 CIP(이미지 통일화 작업)이다.

그러나 국제화 흐름 속에서 확고한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지도 못한 상황에서 IMF사태를 맞이한 우리 기업들은 어려울수록 이러한 CI작업을 통해 이미지 제고를 가일층 서둘러 국제적 경쟁력을 갖춰 나가야 할 때이다.
 

그리고 급속도로 악화된 경영환경을 이기기 위한 신사고와 신경영의 출발점을 기업정신의 상징이요 얼굴상호의 바람직한 변화에서 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
 

이는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듯 날마다 보고 듣고 쓰는 이름의 변화는 곧바로 의식의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현대는 상품의 시대라기 보다는 브랜드의 시대로 기업 합병시에도 상호와 상표를 자산으로 평가하는 시대이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를 재산으로 인식해왔다.
 

오늘의 시장상황은 품질 경쟁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미지를 파는 시대로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상품의 질 못지 않게 이미지를 높이는 길밖에 없다.
 

실로 기업이미지 및 상품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는 상호상표야 말로 엄청난 기업의 홍보와 막대한 매출의 신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고부가가치를 지닌 지적재산권것이다.
 

현재 특허청에 등록되어 있는 상호ㆍ상표는 99년 말 현재로 무려 52만 종이 넘기 때문에 이미 등록된 것이 아닌 새로운 상호ㆍ상표를 만든다는 것은 앞으로 가면 갈수록 더욱더 힘들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서 필자가 좀더 강조하고 싶은 것은 모든 사물은 의미(기운)가 있기 때문에 서로 기운이 맞을 때는 화합하여 발전ㆍ성공에 이르게 되지만 안 맞을 때는 부딪쳐 좌절ㆍ실패를 겪게 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기업이나 회사의 이름은 기업의 특성(기운)에 맞게 짓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상품의 이름인 상표 역시 상품의 특성에 맞게 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각종 전자제품은 金기운으로 보는데 만약 상호나 상표에 火기운이 강하게 들어간다면 火剋金하여 金기운이 무력(無力)해지므로 흉하다.
 

예를 들어 여러 해 전에 삼성의 '애니콜'과 LG의 '화통'이 서로 휴대폰 브랜드 경쟁을 벌인 적이 있었다. 그 결과 '애니콜'은 장수브랜드가 되었고, '화통'은 단명브랜드로 곧 사라지고 말았다.
 

이 경우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전문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겠으나 필자는 자연을 공부하는 사람이므로 역학과 작명학의 관점에서 피력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자형식으로 볼 때 삼성은 전자제품의 브랜드로 소비자에게 익숙한 영어형식을 취했고, LG는 파격적으로 한문형식을 취함으로써 신선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할 수도 있었겠지만 위험부담도 감수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우선 글자의 소리와 뜻이 가지고 있는 기운을 비교해 보면, '애니콜(anycall)'은 '누구든 호출할 수 있다'는 의미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애니(any)」라는 음(音)에 있다.
 

즉 영어에서 거의 발음이 비슷한 애니(Annie)는 여자이름인 앤(Anne)의 애칭(愛稱)으로 친근하고 다정한 어감가지고 있다.
 

따라서 '애니콜'하면 '친숙하고 여성적인 애니가 부드럽게 부른다'라는 전체 이미지를 주게 되므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조금도 부담감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꾸준히 은근하게 지속적으로 친근감을 주게 되는 브랜드인 것이다.
 

반면에 '화통'은 한문의 글자에 따라서 크게 2가지 의미로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전자는 '화통하다(=의사소통이 잘된다)'할 때의 의미(話通)이고, 후자는 '기차 화통(火筒)을 삶아 먹었니?'라고 할 때의 시끄러운 굉음(轟音)의 의미이다. 당연히 각종 공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시끄러운 이미지는 거부감을 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LG측에서는 전자의 의미로서 '화통'이란 이름을 사용하였지만 후자의 이미지가 너무 강했던 것이다. 거기에다가 결정적으로 '화통'의 「화」는 소리 전체의 기운이 강한 火기운을 가지고 있는 소리이다.
 

따라서 '화통(火通)', 즉 火氣가 통하여 핸드폰·전기·전파에 작용하는 金기운을 극(剋)하니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무력하게 되어 단명브랜드가 되고 말았던 것이다.
 

의류제품은 木기운으로 보는데, 만약 상호나 상표에 金기운이 강하게 들어간다면 金克木하여 木기운이 무력해지니 매출이 크게 일어나기는커녕 뚝 떨어지게 되는 흉한 이름인 것이다.
 

이처럼 상호와 상표의 이미지나 업종 및 제품의 특성과 상호·상표의 기운이 서로 맞고 안 맞음에 따라서 매출의 증감에 지대한 영향력미친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상호와 상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결코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