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덕한국작명연구원

TEL. 02.2678.6542 | 010.4721.6868

BANK. 9-12123838-47 KB국민은행
         1002-480-123838 우리은행
         예금주 : 안현덕

저서안내

안현덕원장의 저서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책은 변화의 이치는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음령오행과 수리길흉이라는 고정된 틀에 이름(글자)을 끼워 맞추는 기존작명이론의 문제점을 보완한 책이다.

예를 들어, 첫받침에 따라 소리기운이 정해지는 음령오행의 이론으로 보자면 ''과 '' 의 소리기운은 첫받침이 ㅁ받침과 ㅂ받침으로 되어 있어 둘 다 水기운으로 봐야하는 모순에 빠지게 되며, 음령오행의 이론만을 맹신하다보면 이러한 모순에 빠져 소리기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안현덕新작명법]에서는 <자음오행(字音五行)>이라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즉 소리가 소리전체로서 강력한 기운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그 기운(자음오행)으로서 소리기운을 파악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차선으로 첫받침이 가지는 기운(음령오행)을 소리기운으로 파악하자는 것이다.
 

그렇게 볼 때, '목(木)'은 소리기운이 水(ㅁ)가 아닌 木이 되며, '화(火)'는 소리기운이 土(ㅎ)가 아닌 火가 되며, '토(土)'는 소리기운이 火(ㅌ)가 아닌 土가 되며, '금(金)'은 소리기운이 木(ㄱ)이 아닌 金이 되며, '수(水)'는 소리기운이 金(ㅅ)이 아닌 水가 되니, 비로소 합리적으로 소리기운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사람의 영혼과 육체처럼 소리와 더불어 작명의 핵심인 글자의 뜻과 모양이 가지고 있는 기운을 자의오행(字意五行)과 자형오행(字形五行)으로 분류하여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전문적인 관점에서 제대로 이름을 지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토대를 처음으로 제시하며 마련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도서출판[좋은글] <2000년 출간>
 

역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쉽게 역학의 기초를 이해할 수 있도록 역사적인 사건과 일상적인 사례들, 그리고 '남녀간의 사랑과 이별이야기'라는 에피소드를 통하여 오행의 합과 충, 또는 생극 관계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였다.

또한 150개가 넘는 실제 감정사례를 통해 운을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혼자서도 충분히 독학이 가능하도록 꾸며져 있다.
 

- 도서출판[백송] <1996년 출간>